해외포스트

트럼프, 대중 관세 완화 선언..“2~3주 안에 정할 것"

 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관세 정책의 강경 기조를 빠르게 완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2~3주 내에 90여 개 국가들과 협상 중인 관세율을 조정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중국도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기존의 고강도 관세 정책에서 한 발 물러서는 발언으로, 대중 관세율이 145%에 달하는 상황에서 대화와 협상의 여지를 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강경한 관세 정책에서 출구 전략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우리는 현재 90개국과 협상 중이며 모두 공정한 거래를 원하고 있다. 훌륭한 거래가 가능할 것”이라며 관세율 조정을 예고했다. 그는 이어 “향후 2~3주 안에 관세율 조정을 결정할 것”이라며, 중국과의 협상도 그 과정에 포함될 수 있음을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양국 간 비공식적인 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암시하며, 관세 조정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중국과 매일 대화하고 있다고 밝혀, 양국 간 긴장이 다소 완화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현재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율은 최대 145%에 달하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 이전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로 인해 양국 간 무역은 사실상 단절 상태에 있으며, 대중 관세율이 과도하게 높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실질적인 출구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중국이 균형을 맞추고자 한다면, 우리는 함께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양국 간 상호 협력적인 방식으로 관세를 조정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그는 또한 “현재의 관세 수준은 양측 모두에게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관세 인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중 관세율을 절반 이상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정부가 현재 145%에 달하는 대중 관세율을 50~65%로 낮추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미 하원 중국 특별위원회가 제안한 차등 관세 제도가 있다. 이는 전략적 품목에 대해서는 최소 100%의 관세를 부과하고,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품목에는 3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5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조정이 이루어지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부과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와 20%의 펜타닐 대응 관세에서 중첩적으로 적용된 자동차 부품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특정 품목에 대해서만 관세를 면제하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기존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서 한 발 물러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관세 정책의 일관성 부족은 여전히 시장에 큰 불확실성을 안겨주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교역국에 대해 11~50%의 상호 관세가 부과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90일간 유예 조치가 내려진 상태다. 또한 중국에 대한 관세도 점차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관세 정책이 자주 바뀌고 즉흥적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아, 기업들이 이에 맞춰 사업 전략을 세우거나 공급망을 재편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리덤 캐피털마켓의 수석 글로벌 전략가인 제이 우즈는 “매우 실망스러운 상황”이라며 “매일매일 불확실성만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을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시험용 풍선”으로 해석했다. 즉, 중국의 반응에 따라 실제 정책이 실현될지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은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에 휘말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