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포스트
미얀마 강진, 사망자 2000명 넘어 생지옥…군부 통제력 흔들리나

BBC는 31일 기준, 사망자가 최소 2056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다. 인구 170만 명의 만달레이는 불교 문화의 중심지로 알려졌으나, 이번 지진으로 도시 대부분이 붕괴하며 참혹한 상황에 처했다. 고온으로 인해 잔해 속 시신 부패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외신들은 “도시 전체가 죽음의 냄새로 뒤덮였다”고 전했다.
국제사회는 긴급 구호에 나섰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긴급 의료 장비를 피해 지역으로 보내고, 중국, 러시아, 태국 등 여러 국가가 구조 인력과 구호 물품을 지원했다. 그러나 미얀마의 내진 설계 부족과 지진 피해의 규모로 인해 생존자 구조와 희생자 수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사망자가 1만 명을 넘길 가능성이 71%라고 예측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적인 소식도 전해졌다. 31일 새벽, 만달레이의 붕괴 현장에서 임신부와 다섯 살 아이가 매몰 60여 시간 만에 구조됐다. 하지만 여진 공포와 식량, 물 부족으로 인해 5만 명 이상의 이재민들이 거리에서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 전역에 걸쳐 피해를 남겼다. 수도 네피도의 국제공항 관제탑이 붕괴돼 항공 운항이 중단됐고, 주요 고속도로도 파손되며 국가 인프라가 마비 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상황은 군부의 재난 대응 능력 부족을 드러내며 민심의 불만을 키우고 있다. 특히 군부 최고 지도자인 민 아웅 훌라잉 사령관은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이는 과거 구호 활동을 제한했던 군부의 태도와는 대조적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이 군부의 통제력을 약화시키고 정치적 변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군부는 2021년 쿠데타 이후 민주화 세력을 억압하며 권력을 유지해왔으나, 이번 지진으로 민심 이반이 가속화될 경우 군부의 장악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민주화 세력의 상징인 아웅산 수지의 정치적 복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가택 연금 상태로 알려진 그녀의 신상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미얀마는 이번 지진으로 정치적·사회적 전환점에 놓였다. 재난 극복과 더불어 민주화로의 전환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재난이 미얀마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집에서 5분만 "이것"해라! 피부개선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